유용한 정보TIP

개한테 물렸을때 대처방법은?

양쏘 2016. 6. 28. 15:30


안녕하세요?
오늘 정말 날씨가 무더운 것 같습니다.
요즘 같은 때에 야외활동 많이 하시죠?
얼마전에 지인이 야외활동중 진드기에 물려 병원에 다녀오곤 했답니다.
여러분들도 조심하시길 바라며 
오늘은 개한테 물렸을때 대처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한테 물렸을때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개한테 물렸을 때에는 가장 먼저 소독부터 해주셔야 합니다.

강아지 입안 에 있던 세균이 상처를 통하여 감염 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가족견이 아닌 밖에서 낯선 강아지로 부터 생긴 상처라면 파상풍 또는 광견병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소독후 병원에 가보시를 권합니다.


지혈제는 어떤게 좋나요 ?

지혈제는 가루타입 보다는 바르는 지혈제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가루지혈제의 경우 보통 하얗기 때문에 상처부위가 잘 보이지 않아 피부가 지저분해 보일 수 있습니다.


피가 날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가벼운 상처에서 피가 날 경우에는 바로 지혈 하기보다는 흐르는 물에 깨끗히 씻어 낸 후 소독된 거증 등의 깨끗한 천을 이용하여 상처를 압박해줍니다.

그리고 반드시 낯선 강아지로 부터 난 상처라면 병원에 가보셔야 합니다.


심한 상처가 났을땐 어떻게 해야 하나요?

심하게 물려 피부가 찢기고, 상처가 깊이 파였을 때에는 집에서 어설프게 조취하지 마시고 바로 병원으로 이동하셔야 합니다.

집에서는 지혈 등의 응급초치를 하기보다는 흐르는 물에 상처 부위를 헹구기만 하시고 병원으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가족견 인데도 병원에 가야하나요?

집에서 키우는 야완견이라 할지라도 이빨에는 세균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병원에 가셔서 소독 및 항생제 처치를 받으시길 권합니다.

또한 아직 파상풍 주사를 맞지 않으셨다면 세균감염으로 부터 2차적인 피해를 막기위하여 접종하시기 바랍니다.


너무 걱정하지마세요.

가벼운 상처라면 소독만 잘 해주어도 흉터 및 2차 감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침착하게 대처하시기 바랍니다.

무는 것이 개들의 본성이기 때문에 집에서 키우고 계시다면 무는 것에 대한 훈련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저같은 경우 예전에 포메라니안을 키웠었는데요. 새끼때 이빨이 나오려고 하여 간지러운지 사람 손가락을 자주 물더군요. 그러나 너무 자그마한 아이이기 때문에 때리지도 못하고 , 아직 새끼라 아프지도 않으니 그냥 두었습니다. 


그랬더니 커서도 무는게 습관되어 한동안 엄청 물더군요. 다행히 훈련시켜 나중에는 고쳐졌으나, 너무 혼낸탓에 애가 풀이죽어있어 속상했던 적이있습니다.

그러니 혹시 무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면 아이가 다 자라기 전에 훈련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여기까지 개한테 물렸을때 대처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